맨위로가기

하동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동군 (1948년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하동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어,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삼천포시·사천군·하동군 선거구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강달수, 이상경, 강봉옥, 손영수, 윤종수가 있다.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강달수가 당선되었고, 이후 치러진 선거에서 각 정당 및 무소속 후보들이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동군의 정치 - 사천시·남해군·하동군
    사천시·남해군·하동군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며, 사천시, 남해군, 하동군을 관할하고, 사천시 선거구와 남해군·하동군 선거구의 통합으로 신설되었다.
  • 하동군의 정치 - 하동군수 선거
    하동군수 선거는 1995년부터 하동군수를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선거로, 정구용, 조유행, 윤상기를 거쳐 현재는 하승철이 군수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각 선거마다 정당 구도와 득표 현황에 변화가 있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하동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하동군
의회국회
큰 지도경상남도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삼천포시·사천군·하동군
의원 수1인

2. 역사

(내용 없음)

2. 1. 설치와 폐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하동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삼천포시 선거구, 사천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삼천포시·사천군·하동군 선거구를 형성하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내용 없음)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1대 국회의원 선거 (1948년)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하동군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1강달수부산15구락부17,01435.42%당선
2이상경대한독립촉성국민회16,50234.35%
3황학성무소속9,56419.91%
4고종철대동청년단4,95010.30%
48,030표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wikitext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경상남도 하동군)
후보자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이상경대한독립촉성국민회8,28217.52%당선
윤종수대한독립촉성국민회6,51813.79%
정순화무소속5,14310.88%
강달수일민구락부3,7207.87%
김영규대한국민당3,1946.76%
이병대대한독립촉성국민회2,8215.97%
김도원사회당2,7355.78%
조용박대한독립촉성국민회2,2594.78%
황기성미상2,0644.36%
강보형사회당2,0364.30%
여재규대한독립촉성국민회2,0274.29%
정순표무소속1,9134.04%
오재인대한노동총연맹1,3872.93%
최재학무소속1,2042.54%
박재덕사회당1,0002.11%
권병률무소속9421.99%
강석권대한독립촉성국민회00.00%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하동군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1강봉옥자유당9,58420.27%당선
2김치헌무소속6,67214.11%
3이병주무소속5,83612.34%
4오재인무소속5,77212.20%
5전헌일무소속4,91710.39%
6정석현무소속3,8758.19%
7박종원무소속3,4427.28%
8김태진무소속2,7015.71%
9강석근무소속2,1994.65%
10김도원무소속9512.01%
11권병율무소속7631.61%
12정한식대한독립촉성국민회5681.20%
합계47,280표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하동군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손영수자유당14,19029.70%당선
윤종수무소속11,70624.50%
문부식민주당11,12923.29%
장봉대무소속5,64411.81%
이위수무소속5,09710.67%
합계47,766표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경상남도 하동군 선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윤종수무소속12,93525.73%당선
문부식무소속11,75923.39%
이병주무소속8,43416.77%
손영수자유당3,2706.50%
이상철민주당3,2156.39%
이원창무소속3,0916.14%
김인철무소속2,9405.84%
김찬경무소속2,9175.80%
강찬신무소속1,7113.40%
합계50,272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